정부가 예술영화전용관 선정극장 지원금액을 지난해 보다 3억여 원을 삭감했다. 대구동성아트홀은 지원금을 전혀 받지 못해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빚게 됐다.
<뉴스민>이 영화진흥위원회에 정보공개청구 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예술영화관 지원금 총액은 약 7억8백만 원으로 전년도 10억6천 여만 원에 비해 33%삭감됐다. 지원금은 2009년 9억9천 여만 원 이후 지난해까지 10억 원 이상이었다.
지원 극장 수도 줄었다. 2010년 32개, 2011년 30개, 2012년과 2013년 각각 25개로 감소했고, 2014년은 20개 극장만 지원했다.
지원금과 지원 극장 감소로 당장 대구 동성아트홀, 대전아트시네마 등 지방의 예술영화관은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빚게 됐다.
 |
▲동성아트홀 내부 모습 [사진=뉴스민 자료사진] | | |
남태우 동성아트홀 프로그래머는 “전용관 지원사업은 통상적으로 6월에 공모 결과가 나오는데 이번엔 느닷없이 재공모를 했고, 동성아트홀은 선정되지 않았다”며 “2004년부터 꾸준히 지원받아왔었는데 사업 탈락으로 재정적자가 심각해 4월부터는 급여도 못 받고 임대료도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원사업에서 탈락한 극장이 주로 지방 소재 예술영화관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남태우 프로그래머는 “지원사업에서 탈락한 영화관은 주로 지방 영화관이다. 안동, 거제, 대전, 대구, 부산의 예술영화 상영관이 탈락해 어려움에 부닥쳤다. 서울은 시민사회가 발달해서 잘 안 건드린다”며 “그러면서 일부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멀티플렉스를 밀어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멀티플렉스의 예술영화전용관도 예술영화 시장을 키우는 일부 효과를 가지기도 하지만 결국엔 시장 독식으로 예술영화시장을 고사시킬 것”이라며 “대기업 영화관은 예술영화 중에서도 잘 되는 아트버스터 급만 상영한다. 예술영화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남태우 프로그래머는 “예술 영화관은 영화 산업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관돼 있다. 상영관 감소로 예술영화와 독립영화를 배급하는 회사가 타격을 받을 것이고, 상영관이 줄어들면 저평가를 받게 돼 2차 시장 공급 단가도 떨어지는 악순환이 될 것”이라며 “영화 생산과 공급에 모두 차질이 될 것이다. 예술영화 생태계가 위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성아트홀 등 예술영화관이 관객점유율이 낮다는 지적에는 "예술영화 시장이 멀티플렉스의 예술영화관 등장으로 시장이 잠식됐고 예술 영화 관객도 반으로 줄었다. 예술 영화 자체의 신선도도 떨어졌다. IPTV나 다운로드 시장 등 영화의 2차 시장이 확대되는 조건이 있는데 단순히 관객점유율이 낮다는 이유로 지원금을 끊어서는 안 된다”고 반박했다.
끝으로 "박근혜 정부가 재정확보를 위해 서민증세하고 복지축소하는 정책을 펼치는 와중 예술영화 지원금마저도 손을 대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2014년 예술영화전용관 선정 심사위원회는 “지금의 예술영화전용관은 위원회의 지원금 의존율이 매우 높고 관객 점유율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며 “변화하는 예술영화 시장과 관객 성향을 고려하여 예술영화전용관도 함께 변모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우리 심사위원회는 지원극장의 제반여건과 운영실적 및 향후 발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지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