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내성천 정비 사업을 추진하자 환경단체는 자연 생태계를 파괴하는 4대강 후속사업이라며 사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용궁지구(낙동강 합류점~경북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 일원), 지보지구(예천군 지보면 마산리~호명면 원곡리 일원), 호명지구(예천군 호명면 원곡리~호명면 직산리 일원) 총 22.6km 구간에서 하천이용 및 개발사업을 진행한다. 더불어 해당 사업 구간에 자전거 도로 포장, 생태하천 조성, 하천 환경정비, 수림대 조성 등을 계획 중이다.
 |
▲자료 출처: 내성천 용궁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등 3개지구 사업평가서 초안 | | |
지난해 5월 ‘내성천 용궁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등 3개지구’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작성해 올해 1월 대구지방환경청에 사업 평가서를 제출했다. 현재 대구지방환경청이 환경영향평가서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구환경운동연합을 포함한 6개 환경단체는 20일 오전 10시 30분 대구 달서구 대구지방환경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성천 정비사업이 자연제방을 인공제방화하고 필요성이 불분명한 3개의 교량 신설하며 하천복원을 이유로 자연습지 구간을 인공적 공원화”한다며 사업 철회를 요구했다.
참가자들은 “내성천 하천환경정비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검토 이전에 환경부의 사전환경성검토 결과 등에 대한 재검토와 검증이 필요하다”며 “이 같은 검토가 부재한 상태에서 진행된 내성천 구간에 대한 사전환경검토(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자체가 오류”라고 꼬집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사업 목적 자체가 불투명하고 황당하다. 홍수 관리를 한다는데 공사 구간이 내성천 하류 쪽이라 삼각주도 발달하고 범람원도 넓어 홍수 피해가 없다”며 “내성천 사업은 4대강 사업의 후속사업이다. 4대강 사업으로 국민적 공분이 있는데도 정확한 평가도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수근 생태보존국장은 “내성천에는 멸종위기종도 있고 중요한 문화재도 있다. 문화재 현상변경신청도 아직 안 했다”라고 지적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