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국은 힐링 열풍으로 뜨겁습니다. 힐링이란 마음의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합니다. 티브이를 열면, 유명인들의 힐링 모습을 자주 만나게 되지요. 그런데 그 방법이 흥미롭습니다. 자신에 대해 그동안 말하지 못했던 것들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자신의 시간을 끄집어내 돌아보는 것이죠. 마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을 보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최면과도 유사합니다. 어린 시절로 돌아가 기억 아래 것들을 끄집어내어 마음을 치료하는 것이죠. 힐링은 결국 자기를 비춰보는 거울입니다. 그런데 이런 맥락의 힐링은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예술입니다.
인류의 조상들은 동굴 벽에 자신의 마음을 새겨 넣곤 했습니다. 더욱 풍요롭길 바라는 자신들의 마음을 숨김없이 표현했죠. 그것은 그들에게 위안이 되었습니다. 인류에게 위로가 되는 행위, 이것이 바로 예술의 시작입니다. 예술은 한 개인이 속한 곳의 종교, 철학, 문화, 경제 등을 반영합니다. 그러니 예술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고, 힐링인 것이지요. 그래서 종종 우리는 예술작품으로 과거를 돌아보기도 합니다. 그 과거 속에는 종종 인간의 상처가 있습니다.
지난 2013년, 미국 플로리다 법정에서 열린 재판이 미 전역을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십 대 소년 마틴을 죽인 지머먼에 대한 재판이었습니다. 방범대원이었던 지머먼은 길에서 의심스러운 소년을 발견했는데, 그가 바로 마틴이었습니다. 지머먼은 마틴이 주먹을 휘두르며 자신을 죽이려 하자, 어쩔 수 없이 총으로 그를 사살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주먹에 총으로 대응한 것이 정당방위냐 아니냐가 재판의 쟁점이었습니다. 지머먼은 무죄 선고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흑인사회의 공분을 사게 되었죠. 지머먼이 처음부터 마틴을 경계, 의심하며 쫓았던 이유가 ‘마틴이 후드티를 입은 흑인’이어서라는 겁니다.
이에 분개한 흑인들이 후드티를 입고 거리로 뛰쳐나왔습니다. 그리고 '나는 위험하지 않다'라고 외치기 시작했지요, 인종의 용광로라 불리는 미국, 다 함께 넣고 끓이기만 하면 하나가 된다고 생각했던 걸까요? 그들이 용광로 속에 있다고 믿는 그것, 미국인이라는 것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그 특성을 갖지 않으면, 이상한 걸까요? 그리고 그 특성 속에 후드티를 입은 흑인은 있었을까요? 후드티를 입은 흑인들의 사진이 끊임없는 궁금증을 자아냅니다. 이 사진이 없었다면, 평생 이런 생각을 해 볼 일은 없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 <톰 아저씨와 작은 에바 UNCLE TOM & LITTLE EVA>, 목화 밭의 즐거운 노예 장면. | | |
시위 사진을 보며 애니메이션 하나가 떠올랐습니다. 그것은 1930년대에 제작된 미국 뮤지컬 애니메이션, <톰 아저씨와 작은 에바>였습니다. 작품은 노예제 반대자인 해리엇 비처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패러디한 것이었죠. <톰 아저씨와 작은 에바>의 내용은 한 흑인 노예 모녀가 백인에게 쫓기게 되고, 노예 톰 아저씨가 이들을 구한다는 것입니다. 가슴 아픈 이야기였죠.
그러나 영상을 뜯어보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노래하는 노예들이 실려 오는 증기선, 목화밭에서 즐겁다는 듯 춤을 추는 노예, 경매에 나온 노예가 탭 댄스를 추며 백인들에게 어필하는 장면은 분명 노예제로 고통받은 이들에 대한 모욕이었습니다. 해리엇의 작품은 노예제의 비극을 나타내었지만, 이 애니메이션은 마치 노예들이 노예 생활을 즐긴 듯 묘사해 버린 겁니다.
당시는 노예해방이 된 지 50년 이상 지난 뒤였지만, 여전히 백인 우월주의로 가득 찬 시대였습니다. 겉만 멀쩡하고 속은 여전히 곪아있는 상황이었죠. 그러니 여전히 애니메이션 속에서 흑인은 노예로 등장했고, 흑인의 모습을 모욕적인 캐리커처로 만드는 걸 자연스러운 유머쯤으로 여겼습니다. <톰 아저씨와 작은 에바>는 미국 사회가 흑인을 바라보는 관점을 고스란히 담고 있었습니다.
초창기 미국 애니메이션은 극장 상영이었습니다. 주요 타깃은 성인이었죠. 그러다 보니 성인들의 관점이 애니메이션에 고스란히 녹아있었습니다. 1930년 개발된 텔레비전은 2차 대전 이후 각 가정으로 스며들었고, 애니메이션도 텔레비전으로 자리를 옮겨 갔습니다. 애니메이션의 주 관객이 성인에서 어린이로 확대되면서, 미국은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를 맞이했습니다. 그러나 내용은 여전히 성인의 코드를 가지고 있었죠.
<톰 아저씨와 작은 에바>도 이 시기에 나온 작품이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이들이 고정관념을 갖고 자라기에 충분한 내용이었지요. 더 큰 문제는 이와 유사한 작품들이 유명 프로덕션에서 무차별로 쏟아져 나왔다는 것이었습니다.
1968년, 결국 미국의 영화 배급사인 UA(United Artists Corporation)가 이들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면서, 애니메이션 내의 흑인 인종차별 문제가 수면으로 떠올랐습니다. 모욕적인 내용의 애니메이션을 금지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는 미국 사회에 인종차별이 옳지 않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행위였죠. 곪아가던 문제가 애니메이션을 통해 터지게 되었고, 자신들의 모습을 비춰보며 나름의 힐링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애니메이터들이 자신을 그대로 드러냈기에 가능한 일이었죠. 예술은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그 거울 속의 모습을 보고 뭔가를 찾아낸다면, 그것이 바로 힐링이겠지요.
힐링은 인류의 문명과 함께 시작했습니다. 문화 일부로, 자연스러운 일이었죠. 그런데 요즘, 새삼스레 너도나도 힐링을 찾겠다고 난리입니다. 흡사 불빛을 향해 달려드는 나방 같네요. 힐링의 열풍으로 휘청거리는 우리 사회, 지금 어떤 거울과 마주 보고 있을까요?
강기린
만화도 문화다, 오락 그 이상의 만화, 애니메이션 이야기를 해 드리겠습니다.
강기린은 척척팩토리의 서브라이터이자 만화평론가입니다.
척척팩토리는 만화 창작집단으로 네이버에 <7번국도아이>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