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열린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회가 지리멸렬하게 끝난 가운데 증인으로 참여하여 증인선서를 거부한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태도에 비판이 대구에서도 거세게 일고 있다.
 |
대구시 중구 동성로 한일극장 앞 시국대회에 대구시민 400여명이 모였다. | | |
17일 저녁 6시 대구시 중구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열린 ‘국정원대선개입규탄, 민주주의수호 8차 대구시국대회’에 참여한 정용태 씨는 “더 테러 라이브에서 대통령이 사과하지 않고 시민들을 위험에 노출하는 것보다 지금 국정원 사태를 두고 책임자들이 책임지지 않는 것이 더 심각한 문제”라고 비판했다.
정 씨는 “영화에서 대통령은 사과하면 끝이지만 국정원 선거개입은 사과하는 순간 정권 구조가 바뀔 수 있다”며 “증인선서를 거부하고 실질적으로 국정조사에서 거짓말을 하겠다는 김용판, 원세훈도 영화 속 대통령처럼 관계자로서 져야 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라 덧붙였다.
시국대회에 참여한 시민 400여 명은 ▲제대로 된 국정조사 실시 ▲국정원 개혁 ▲박근혜 대통령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증인들이 선서 거부를 했다. 야비한 자들의 시대다”고 운을 떼며 “국정조사로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공직자들이 국민과 법을 능멸한 것”이라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안하무인 후안무치 국정조사로 진실을 규명하기 어렵다. 국민들이 나서서 판을 뒤집자”라고 덧붙였다.
고등학생 심동현(19) 씨는 “2차 대전 일으킨 두 나라가 있다. 독일은 수상이 무릎 꿇고 사과했는데 일본은 했던 사과도 번복했다”라며 “만주국 장교가 대통령, 그 사람 딸이 대통령이 되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나라가 일본의 군국주의와 아베정권을 비판할 자격 없다. 민주주의 파괴에 사과하라”라고 주장했다.
권혁시 천주교대구대교구 신부는 “유신헌법과 군사독재를 겪은 한국 현대사는 독재자의 권력 장악의 역사다”며 “국정원이 특정 대통령 후보를 위해 대선에 개입한 작금의 현실은 독재자의 권력 장악이 되풀이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정원 대선개입 규탄 시국대회는 24일 오후 7시에도 동성로 한일극장 앞에서 이어질 예정이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