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 사기극 4대강 사업 국민검증단이 직접 검증한다"

민주당, 국민검증단 6일부터 9일까지 4대강 현장 검증 시작
뉴스일자: 2013년08월06일 19시40분

민주당과 환경단체가 수질악화와 환경파괴 논란이 일고 있는 ‘4대강 살리기’사업에 대한 검증 조사 작업에 나섰다. 지난 7월 10일 감사원 감사 결과 4대강 사업이 대운하를 염두에 두고 진행됐다는 사실도 알려진 바 있다.

이에 4대강사업국민검증단과 민주당 4대강사업진상조사위원회(4대강조사단)이 6일 오전 10시 낙동강 함안보 하류 50m 지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일까지 4대강사업으로 인한 문제점 현장 조사에 나섰다.

이들은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통해 4대강사업이 국민을 속이고 추진한 운하사업이었음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국민을 속이고 우롱하며 혈세 22조원으로 온 국토를 망가뜨렸다. 하지만 지난 정부에서 4대강사업을 추진하고 찬동했던 이들은 아직도 자신들의 거짓을 감추고 변명하기에 급급하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국민의 식수원이 썩어가고, 전 국토의 자연이 파괴되어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외면받고 있다”고 지적하며 “국회의원들과 시민사회가 직접 나서서 국민의 눈으로 4대강사업을 검증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사기극을 추진한 이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며, 국정조사를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며 “나아가 4대강을 다시 살리기 위한 대안을 찾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경 민주당 4대강조사특위위원장은 “국민이 원하면 대운하를 안 한다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국민을 속이고 대운하 건설을 추진했다”며 “국민을 우롱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꾸준히 지적해 온 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국무총리실에서 조사위원으로 참여하라는 제안이 왔다. 하지만 이 제안에 따르면 시민사회는 들러리밖에 설 수 없고,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측에서 제공하는 자료만 검토할 수 있다”며 4대강사업 검증에 대한 정부의 태도를 꼬집으며 “찬반 인사 동수에 중립인사 60%라고 하지만 환경오염에 중립이 어디 있느냐”고 말했다.

김좌관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는 “녹조류 중 우점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는 간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티스를 분비한다”며 “4대강 사업 이후 8개 보가 들어서며 낙동강 하구에서나 발견되던 마이크로시스티스가 낙동강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후 이명박 전 대통령 가면을 쓰고 강정고령보에서 채취한 녹조를 권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이후 오전 10시 45분경 함안보 하류에서 보의 낙수효과로 인한 세굴 현황을 측정하며 본격적 조사에 나섰다.

이들은 6일 함안보, 합천창녕보를 포함한 낙동강 중류 조사를 시작으로 7일 낙동강 상류, 8일 영주댐과 내성천, 9일 한강 일대에서 수질, 생태변화, 세굴현상, 역행침식 현상 등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한다.

한편, 기자회견장에는 신원 미상의 50대 남성이 기자단과 섞여 조사단 채증을 하다 조사단과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수자원공사 직원으로 보여 소속을 물어도 답이 없었다. 추궁 끝에 수자원공사 직원이라고 밝히고 사진을 삭제했다”고 말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