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주민들, “청도 송전탑도 밀양 합의 정신 이행해야”

“전력자급률 1.3% 대구, 밀양-청도 문제 자유롭지 못해”
뉴스일자: 2013년05월30일 19시34분

29일, 산업통산자원부, 한국전력공사와 밀양 765kV송전탑 반대대책위원회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의 중재로 밀양 송전탑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가협의체 구성에 합의하고 40일간 공사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밀양 공사 중단 소식에 345kV 송전탑 건설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청도 각북면 삼평1리 주민들도 환영의 뜻을 밝히며, “청도 삼평리 또한 주민들의 바람대로 송전탑 지중화가 반드시 이루어지길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30일, 청도 345kV 송전탑 반대 공동대책위(청도송전탑공대위)는 대구 중구 한전 대구경북개발지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밀양과 청도 송전탑 사태에 대해 대구시민들과 대구시가 절대 무관치 않다”며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서 대구시민들과 대구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청도송전탑공대위는 “청도송전탑공대위는 이번 합의를 환영한다”며 “이 합의는 그동안 송전탑 공사를 막고 마을을 지키기 위해 눈물겨운 저항을 해 온 밀양지역 주민들의 승리이자, 전국에서 밀양 주민들과 연대해 온 모든 시민들의 승리”라고 거듭 전문가협의체 구성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또, “전문가협의체는 주민들이 제시한 대안들(지중화, 증용량, 우회노선 등)을 적극 검토해 의견을 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번 기회에 국가 송전시스템 전반을 재검토하고, 지역의 전력자급률을 높이는 길을 찾아야 한다. 한전은 대도시를 위해 지역을 희생시키는 송전선로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은 “우리는 한전 대구경북개발지사에 요구한다”며 “대구경북개발지사도 합의의 내용과 정신에 따라, 청도 각북면 삼평리 송전탑 공사를 유보하고, 그동안 주민들이 요구해 온 지중화를 적극 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전력자급률 1.3% 대구, 밀양-청도 문제 자유롭지 못해”

뿐만 아니라 청도송전탑공대위는 대구시와 대구시민들에게도 이번 밀양, 청도 송전탑 사태의 책임이 있다며, 대구시가 즉각적으로 전력자급률을 높이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신고리 핵발전소에서 시작해 밀양-북경남-청도-대구로 이어지는 이 송전선로 건설사업의 목적은 ‘대구와 영남권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라고 한전은 밝히고 있다. 이제 대구시민들도 절대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라며 “2011년 현재 대구시의 전력자급률은 1.3%로 형편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대구시의 현실이 한전에게 저토록 불의한 송전탑 공사의 빌미를 주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청도송전탑공대위는 “대구시는 먼저 전력 수요관리를 철저히 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적극 나서라. 또한 대구시의 자체 전력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라”며 “대구의 전력자급률이 높아진다면 당연히 송전탑은 필요없을 것이며, 그로 인한 밀양과 청도 주민들의 고통은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