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민 식수 적신호, 취수장 주변 자전거도로 공사

상수도관리본부 관계자도 난색표해... 시민단체 ”시민 안전보다 4대강사업이 우선이냐”
뉴스일자: 2012년12월05일 15시50분

대구 시민의 먹는 물에 빨간 불이 켜졌다. 대구시가 낙동강 취수원 앞으로 4대강 자전거도로를 조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상수도보호구역 취수원이 관광지냐. 시민 안전보다 4대강 사업이 우선이냐”며 건설 중단을 촉구했다.

논란이 일고 있는 자전거도로는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취수장과 죽곡취수장을 잇는 1.4km 구간으로 강 위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자전거도로 건설비용은 56억 3천만원으로 국비 예산이다. 하지만 상수원 보호를 위해 들어갈 추가공사 비용은 포함돼 있지 않아 대구시의 예산 추가 편성이 예상된다.

취수장은 공업용수를 비롯해 대구시민이 마시는 생활용수를 취수하는 곳으로 상수도 보호구역이다. 때문에 취수장 주변은 오염물 유입을 막기 위해 일반인 출입도 통제한다.

하지만 4대강사업 자전거도로 건설은 사실상 일반인 출입을 허용 하겠다는 것이 된다. 자전거도로는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4대강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대구시가 위탁받아 건설 중이다. 사업계획은 대구시 건설방재국이 시공은 대구시 건설본부가 맡았다.

▲죽곡취수장. 넘어 자전거도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식수원보호구역은 출입금지 구역"

이에 대구환경운동연합, 대구녹색당 등 시민사회단체, 정당은 5일 죽곡취수장 입구인 강정고령보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전거도로 건설 중단과 시민 의견 수렴을 촉구했다.

변홍철 녹색당 정책위원장은 “옛 마을공동체에 공동우물이 있을 때 이 우물에 흉측한 짓을 하면 멍석말이 당해서 쫓겨났다. 대구시와 국토부가 토건과 개발을 위해 시민 생활용수에 흉측한 짓을 하고 있다”며 비난했다.

계명대 김종원 생물학과 교수도 “식수원보호구역은 출입금지 구역이라 생물 채집할 때도 들어가지 못했다. 때문에 생태계도 잘 보존되어 있다. 사람 접근이 안 되는 곳인데 자전거도로를 건설한다니 제정신이 아니”라며 비판을 이어갔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은 “취수원 앞으로 계획을 세운 국토부도 문제지만 식수원을 관리해야 할 대구시가 그 사업을 맡아 시공하고 있다는 것이 더 문제”라고 지적하며  “1,757km에 이르는 4대강 자전거 길 모두가 강변을 따라 건설되지 않는다. 때문에 우회도로를 만들고 있음에도 대구시가 굳이 취수원 앞 건설을 강행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 대구시 건설본부 관계자들이 자전거도로 건설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건설본부, "안전대책 마련 최선 다할 것"
상수도관리본부 관계자, "취수장 주변은 관리 필요한 지역.. 공사 힘들어"


대구시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장을 찾아 예방대책을 설명했지만, 자전거도로 건설 자체에 대한 의구심만 증폭시켰다.

대구시 건설본부 정규철 계장은 “매곡취수장은 상수도보호구역이라 펜스도 치고, 변전실을 보호하기 위해 방호벽 설치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또 오염물 투척 우려를 위해 CCTV와 적외선카메라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완벽한 안전 보장을 위해 수상구간 약 1km 구간은 터널형태로 공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종원 교수가 대구시 전문가들의 자문은 구했냐고 질문하자 정규철 계장은 “국토부와 수자원공사에서 이미 자문 등을 거쳐 추진된 사업이라 대구시 차원의 검토는 미흡했다”고 인정하면서도 “이미 공사가 상당수 진행됐기 때문에 추후 안전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공사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시민단체들은 “굳이 자전거도로를 취수원 주변을 지나게 하는 것이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공사 추진 당시 대구시 상수도관리본부도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대구시 상수도관리본부 관계자는 <뉴스민>과 통화에서 “취수장 주변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라 공사가 힘들지 않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국토부와 수자원공사가 추진하는 국책사업이라 어쩔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는 관리만 담당할 뿐이라 어떤 입장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시민단체들은 공사를 강행할 경우 취수장 앞 농성 등 사업 중단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