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7일 삼평마을 주민들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 30여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폭력행사 중단, 송전탑 건설 중단"을 요구했다. | | |
17일 오전 11시 삼평1리 송전탑 건설 현장 진입로 앞이 북적거리기 시작했다. 삼평마을 주민들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 30여 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폭력 행사 중단하고 송전탑 건설 중단"을 요구했다.
용역직원 폭력 행사할 동안 경찰은...
지난 3일 새벽부터 시작된 송전탑 공사로 한국전력과 주민들의 대립이 2주째 이어지고 있다. 마을주민들은 공사중단 후 협상을 요구했으나 한전 측은 '공사 기한 촉박'을 이유로 공사를 강행했다. 이 가운데 지난 13일 경비용역업체(TPS) 직원이 경북 청도군 송전탑 건설에 항의하던 환경단체 활동가를 넘어뜨려 부상을 입히는 일이 발생했다. 문제는 경찰도 현장에 있었으나 이 사태를 지켜만 보고 있었다는 점이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영순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는 "주민의 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이윤 추구만을 목적으로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대규모 공사시 주민 동의를 구하고 진행해야 함에도 시간과 비용 문제를 이야기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송전탑 공사강행을 비판했다. 이어 김영순 대표는 "시민단체들의 존재 이유가 주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함인데 환경단체 활동가에 폭력을 행사한 것은 주민들을 무시한 처사"라며 "주민들의 싸움에 대구지역 단체들도 함께하겠다"고 연대의 뜻을 전했다.
청도보다 앞서 송전탑 건설 반대 싸움을 벌이고 있는 밀양에서도 삼평마을을 찾았다. '밀양 765kv 송전탑 반대 이치우열사 분신대책위' 공동대표인 김준한 신부는 "밀양에서 싸움을 해보니 한전 말은 절대 믿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폭력과 욕설로 주민들을 협박하는데 무서워 할 것 없다"며 "한전이 송전탑을 마을 가까이에 짓는 이유는 건설비를 줄여 이윤을 더 내려는 속셈"이라고 한국전력의 태도를 꼬집었다.
참석자들은 "송전탑 건설에 앞서 충분한 논의와 대화가 선행돼야 한다. 원자력 발전 중심의 정책을 전환하지 않는 한 시골마을의 송전탑 싸움 또한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송전탑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 하라"고 주장했다.
지난 13일 사태 이전부터 삼평마을은 송전탑 공사로 인해 마을이 어수선했다. 3일부터 시작된 한전 측의 기습 공사에 주민들이 항의하자 경비용역업체 직원 50여 명이 투입됐다. 이들은 마을 주민들에게 욕설을 퍼붓고 주민들의 항의를 원천봉쇄했다. 이 과정에서 일흔이 넘은 이차연 씨가 '단기기억 상실증'에 걸려 일주일 동안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당시에도 경찰은 현장에 나타났으나 별다른 제지를 하지 않았다.
 |
▲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청도경찰서에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경찰서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 | |
기자회견을 마친 이들은 청도경찰서에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경찰서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이들과 동행한 기자들이 면담 과정 취재를 요청했으나 구진모 정보보안과장은 "면담은 비공개로 진행한다"고 일축했다. 면담을 진행한 김준한 신부는 "폭력행위 중단과 경찰의 직무유기, 취재 방해에 항의했으나 자신도 잘 몰랐으니 앞으로 신경쓰겠다는 형식적 대답만 들었다"고 전했다.
주민 6명 공사업무 방해로 출두요구 받아
삼평 주민 "평생 살아 온 마을 빼앗길 수 없다. 끝까지 싸우겠다"
마을 주민들은 이야기를 꺼낼때면 분노와 억울함을 토로했다. 굴삭기가 멀쩡한 농지를 밟고 지나가는가 하면, 손자 뻘의 용역 직원들에게 욕설을 들어야만 했으니 당연한 반응이었다. 이들은 평생 살아온 마을을 지키고 싶었을 뿐이었다. 경찰도 주민들의 편이 아니었다. 마을 부녀회장 이은주 씨를 포함한 6명의 주민들에게 청도경찰서로 나오라는 출두요구서가 날아왔다. 공사방해가 이유였다.
경찰은 치안을 지켜주는 것으로만 알았던 주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는 무너졌다. 이에 앞서 주민들은 그동안 몰랐던 법을 알아야만 했다. 2006년 1월 한국전력공사는 '345kv 북경남 분기 송전선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를 열었으나 대다수는 주민설명회에 참석하지 못했고 2009년에서야 송전탑 건설 사실을 알았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재판까지 진행했으나 법도 주민들을 외면했다. 주민설명회 공고를 하지 않은 군청 공무원들의 잘못이 밝혀졌으나, '생소한 업무라 고의적 직무유기가 아니'라는 판결이 났다.
삼평마을 이장 박재권 씨는 "처음에 산으로 선로를 돌려달라고 했다. 군청의 농정과에 찾아가 공사가 언제 진행되는지 알려 달라고 했으나 답을 듣지 못했다"며 "그런데 3일 새벽 갑자기 벼를 짓밟고서 공사를 시작했다. 벼는 농민에게 자식과도 같다. 이건 농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올해 88세인 정두세 씨는 "돈도 필요없고 너무 억울해 눈물만 난다. 평생 살아 온 마을 빼앗길 수 없다. 끝까지 싸우겠다"고 호소했다. 한편, 23일 밀양 765kv 송전탑 피해자들은 국회에서 증언대회를 연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