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보건의료단체와 병원노동자들이 메르스 확산 방지와 안전 요구안을 대구시에 전달했다.
19일 오전 병원 노동조합과 보건의료단체로 구성된 대구경북보건복지단체연대회의는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메르스 사태해결과 확산방지를 위한 의료인 및 시민사회의 요구안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19일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대구는 확진환자 1명, 병원격리 의심환자 5명, 자가격리 관찰자 129명, 능동 감시자 344명이다. 확진 환자와 접촉한 정보 제공자는 281명이다.
연대회의는 “메르스 확진자가 비상식적인 활동을 했다고 하지만, 1차적인 책임은 방역체계를 가동하지 못한 정부 책임”이라며 “대구시도 확산방지를 위해 감염자 동선만 공개할 것이 아니라 확산방지와 감염자 치료를 위한 구체적 계획을 공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치료 담당자인 의료진 보호장구 구비 상황과 인력확보에 대한 조사와 격리대상자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며 “병원노동자를 비롯한 많은 의료인과 시민사회에서는 빠른 사태해결을 위해 대구시가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요구안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과 대응 매뉴얼 마련, 격리자 생계대책 마련, 공동대책위 구성을 요구했다.
또,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해 상급종합병원급의 국가지정 격리병동운영을 요구했다. 현재 대구지역 지정 격리병상은 대구의료원이다. 하지만 대구의료원은 관련 전문의가 없는 등 치료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 대구시가 나서서 환자 진료 인력 구성 매뉴얼화와 진료 장비와 물품 공급을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