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한국 핵발전소 사고, 어디까지 가봤니

[핵,노답] 국내 핵발전소 현황과 주요 사고 사례
뉴스일자: 2015년03월11일 19시05분

▲제작: 진냥

후쿠시마 참사 4주기를 맞아 <뉴스민>에서는 국내 핵발전소 현황과 주요 사고 사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인포그래픽을 제작했다.

현재 핵발전소는 전국 24기 중 경남, 경북, 부산 등 영남권에만 18기가 운행 중이다. 특히, 부산시 기장군에 있는 고리핵발전소는 가장 노후한 핵발전소로, 2007년 수명을 10년 연장해 오는 2017년 연장 기간이 종료된다. 가장 노후한 핵발전소인 만큼 사고 빈도도 가장 높았다. 38년 동안 130건이다.

이들 핵발전소의 운행 시기, 사고 건수, 사고 사례는 아래와 같다. 자료는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opis.kins.re.kr)과 그린피스 나쁜 원전 이야기(http://greenpeacekorea.org/nonuke)를 참조했으며, 사고 사례는 그린피스 사이트에서 제작자 임의로 한 건을 선정했다.

고리 1호기: 1978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30건, 주요 사례: 2015년 6월 18일 고리 1호기 2차 수명연장 신청서 접수 마감일, 2012년 2월 계획예방 정비 기간에, 외부 전원이 상실되었으나 비상 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아 전력공급이 중단, 전원공급이 재기될 때까지 12분간 전력공급 중단. 사고 발생 당시 취해야 할 비상발령, 관계기관의 보고 등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고, 한 달 넘게 조직적으로 은폐

고리 2호기: 1983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64건, 주요 사례: 2014년 8월 순환수펌프 정지로 인한 복수기 진공 저하 발생, 터빈/발전기 수동 정지 이후 원자로 자동 정지

고리 3호기: 1985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52건, 주요 사례:2014년 12월 노동자 3명 가스 질식으로 모두 사망

고리 4호기: 1986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42건, 주요 사례: 2013년 4월 원자로 수동 정지 이후 원자로 냉각재계통 냉각 중 주증기관 저압력 신호로 안전주입 발생, 가압기 압력방출 탱크 파열판이 파열돼 원자로 냉각제 일부가 격납건물 내부로 방출

신고리 1호기: 2011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0건, 주요 사례: 2012년 10월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 전력함 휴즈가 끊어져 전원 상실이 발생, 제어봉이 낙하하며 원자로 자동정지

신고리 2호기: 2012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2건, 주요 사례: 2012년 3월 시운전 출력상승 시험 중 급수펌프 정지로 증기발생기 수위가 저하되어 원자로 자동 정지

한울 1호기: 1988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48건, 주요 사례: 2014년 6월 제어봉 낙하로 인해 고온상태로 가동 20일 간 중지

한울 2호기: 1989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29건, 주요 사례: 2012년 10월 터빈제어계통의 유압변환기 고장으로 제어밸브가 비정상적으로 닫히면서 가압기 고압력신호가 발생하여 원자로가 자동정지

한울 3호기: 1998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6건, 주요 사례: 원전 일부 배관과 밸브의 열처리 기록이 누락

한울 4호기: 1999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2건, 주요 사례: 2004년 증기발생기 세관(전열관) 1개 파단

한울 5호기: 2004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1건, 주요 사례: 2013년 7월 복수기 진공 상실에 의해 터빈이 정지되면서 원자로 출력을 급감발, 증기발생기에서 고수위 신호가 발생하여 원자로가 자동정지

한울 6호기: 2005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6건, 주요 사례: 2012년 11월 계획예방정비 중, 정비원의 실수로 인하여 가압기의 저압력 신호가 발생, 부적절한 안전주입이 발생

월성 1호기: 1983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53건, 주요 사례: 2012년 1월 원자로 냉각재펌프가 정지되면서 원자로가 자동정지

월성 2호기: 1997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8건, 주요 사례: 2004년 9월 밸브 오작동으로 중수 3톤 가량 누출

월성 3호기: 1998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22건, 주요 사례: 2014년 3월 액체영역제어계통 수위제어카드가 손상되면서 원자로심 출력 급증, 원자로가 자동 정지

월성 4호기: 1999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1건, 주요 사례: 2014년 6월 가압기 증기 배출밸브의 가압기측 배관연결부에서 미세 관통균열 발견

한빛 1호기: 1986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41건, 주요 사례: 2003년 2월 영광원자력 1호기 발전기 수소누설로 발전소 정지

한빛 2호기: 1987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49건, 주요 사례: 증기발생기의 결함을 보수하는 용접 작업을 인코넬690 대신 작업 편의상 인코넬600 재질로 대체하고 은폐

한빛 3호기: 1995년 가동, 고장·사고 21건, 주요 사례: 2014년 10월 증기발생기 1대의 세관에서 냉각수 누설이 감지되어 출력 감발 중 원자로 정지

한빛 4호기: 1996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20건, 주요 사례: 2014년 12월 부실부품(인코넬600) 사용으로 그린피스 가동 중단 요구

한빛 5호기: 2002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9건, 주요 사례: 2012년 11월 주변압기의 절연유내 가스농도가 증가, 원인 확인 및 교체를 위해 원자로 수동 정지

한빛 6호기: 2002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10건, 주요 사례: 2012년 7월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CEDMCS) 전동발전기(M-G set)의 차단기 작동으로 원자로 자동 정지

신월성 1호기: 2012년 가동 시작, 고장·사고 4건, 주요 사례: 2013년 4월 제어봉 구동장치 제어계통의 제어카드 고장으로 제어봉 집합체간 위치편차가 발생하여 원자로 자동 정지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