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북 영덕군 원자력발전소 신규 건립 의지를 밝힌 가운데, 국비 지원을 통해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힘을 실어줬다.
경상북도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의 일환인 원자력인력양성원 설립에 필요한 사업비 353억 원 중 265억 원을 국비로 유치했다고 밝혔다. 특히, “경북도는 오랜 숙원이던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에 탄력이 붙게 되었다”고 밝혔다.
 |
▲지난달 21일 신규 원전 설립을 위해 영덕군을 방문한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관용 도지사. [사진=뉴스민 자료사진. 2014. 11. 21] | | |
그동안 김관용 도지사는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야심차게 추진해왔다. 김관용 도지사는 지난달 18일 울진과 영덕을 순방하고 21일에는 영덕을 방문한 정홍원 국무총리와 간담회 자리에서 “그동안 우리 경북은 도민의 희생을 등에 업고 국가 에너지 주권을 지켜왔고, 국가 에너지정책의 버팀목 역할을 다해왔다”며 “그런 만큼 이제는 정부가 국책과제로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를 가시화해야 한다”며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의 강력한 추진을 주장했다.
하지만 핵발전소 인근 지역은 관련 사업 유치에 부정적 기류가 흐르고 있다. 10월 9일 강원도 삼척시 핵발전소 유치 주민투표가 반대(84.9%)로 결정났고, 영덕군의회에서도 신규 원전 재검토 특별위원회가 구성됐다.
이보나 녹색당 탈핵특별위원장은 “영덕 주민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핵발전소가 유치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민주주의가 지켜지는지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며 “경상북도는 폐해에 대해서는 잘 알려주지 않는다. 핵발전소가 주민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입증되고 있으며 주민들이 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있는 상황에서 경상북도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는 일방적인 행정절차를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