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교육단체, 한수원 자사고 설립 반대 "공고육 파탄낼 것"

"자사고 설립 예산, 교육 공공성 위해 경주시민과 논의하자"
뉴스일자: 2013년07월26일 13시02분

한국수력원자력이 경북 경주시에 건립 예정인 자율형사립고(한수원 자사고)가 공교육 붕괴와 서열화를 조장한다며 건립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경북교육연대, 경주공교육을 걱정하는 시민모임, 2013교육혁명대장정 참가단은 26일 오전 10시 경주교육지원청 앞에서 열고 한수원 자사고 설립 계획 폐지를 촉구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최근 자사고와 국제중 등 특권학교의 문제점들이 속속 드러나면서 전국적으로 특권학교를 폐지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넘쳐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 흐름의 역행이고 공교육 체계를 무너뜨리는 행태”f라고 자사고 건립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들은 “경주 지역은 오랜 기간 고교 비평준화, 학교서열화의 공고한 틀 속에서 중학교부터 과도한 입시 경쟁에 시달려온 상황인데 한수원의 자사고가 설립되면 경주지역 선발 인원 24명 안에 포함되기 위해 더욱더 치열한 경쟁을 할 것은 불 보듯 뻔하다”고 지적하며 “학생들은 입시경쟁에 매몰되고, 가정경제는 사교육비로 힘들어지고, 공교육체계는 완전히 무너질 것이 자명하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한수원이 설립 비용 787억과 매년 40억의 운영비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그 많은 재원이 지역 공교육의 발전을 위해 사용한다면 교육의 전반적인 질은 높아지고 모든 아이들이 평등하게 교육을 받으면서 행복한 학교에 다닐 수 있을 것이며, 800억의 설립 비용이면 지역에 다목적 마을 도서관을 곳곳에 설치할 수 있어 면학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뿐더러 지역의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며 자사고 건립 예산을 공공성 확보를 위해 경주시민과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끝으로 이들은 “경북도교육청이 한수원 자사고 설립 인가를 불허하고 고교 평준화를 실시하라”고 밝혔다.

한수원 자사고는 지난 2007년 11월 9일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방폐장) 착공식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방폐장에 대한 선물’이라며 건립을 약속했고, 올해 4월 29일 이사회에서 설립 기본계획안이 통과되며 건립이 가시화됐다.

한수원 자사고는 총 사업비 787억원으로 7만1천㎡의 부지에 연면적 2만9천㎡로 건립되며 학생정원은 360명이다. 한수원은 경주시와 실무협의회를 거쳐 위치를 확정하고, 올해 7월까지 학교법인 설립과 10월 학교설립 인허가 취득에 이어 늦어도 2016년 3월 개교한다고 밝혔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