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청이 원자력 발전을 옹호하는 ‘원자력 공모전’을 후원하고, 교육감상을 시상하기로 해 교육,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원자력문화재단이 5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전국의 초, 중, 고생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제22회 원자력공모전은 ‘생명을 구하는 원자력의 매력’, ‘우리나라 에너지의 적정비율 구성방안-원자력 에너지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진행된다.
올해부터 전국의 10개 교육청(서울, 대구, 인천, 세종,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제주)은 공모전 후원과 더불어 교육감상을 신설해 수상까지 하기로 했다.
이에 핵없는세상을위한대구시민행동(탈핵대구행동)은 16일 오전 대구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교육청의 원자력공모전 후원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탈핵대구행동은 “원자력 홍보를 전담하는 원자력문화재단에서 주최하며, 주제도 원전을 긍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 시상 대상이 된다. 반대하는 의견을 가진 학생들은 공모전 참가 자체가 무의미하다”며 “후쿠시마 핵사고 후 핵발전의 위험성이 확인된 마당에 공모전을 열고 후원하는 행동은 부도덕한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어 탈핵대구행동은 “자유로운 생각을 표현할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권도 침해하는 공모전”이라며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일방적인 환상을 심어주는 원자력 공모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인규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초등학교 1학년인 아이가 학교에서 ‘원자력이 짱이야’라는 책을 받아온 것을 보고 너무 놀랐다. 책에서 원자력은 싸고 안전한 에너지라고 말하고 있더라. 후쿠시마 핵사고와 원자력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은 전혀 없다”며 원자력 찬양 일색인 교육을 비판했다.
한편, 경기, 부산, 대전, 울산교육청은 공모전에 후원하지 않았으며, 당초 후원을 결정했던 전북, 강원, 광주교육청은 환경단체의 항의에 후원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통상적으로 학생들의 공모전과 관련된 외부 기관의 후원 요청은 교육감에 보고하지 않고 전결 처리한다. 후원을 취소한 교육청은 소위 ‘진보 교육감’이 있는 곳으로 환경단체의 반발이 잇따르자 후원 취소를 결정한 것.
타 시도교육청의 후원 철회결정과 시민단체의 지적에 대구교육청도 재검토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해연 대구교육청 과학영재교육담당 장학사는 “당초 후원요청 공문에는 ‘저탄소 친환경 녹색성장교육’을 주제로 한다고만 명시돼 있었다”며 “교육청 차원에서도 후원과 관련해 다시 검토 하겠다”고 말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