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대구, 경북을 포함한 전국 12개 시도교육청은 초등 3~5학년, 중등 1, 2학년을 대상으로 ‘교과학습 진단평가’를 시행했다. 시도교육청이 일제고사 방식의 진단평가를 학기 초부터 실시하자 대구경북 교육단체들은 즉각 반대행동에 돌입했다.
같은 날 오전 10시 30분, 전교조 경북지부, 참교육학부모회 경북지부 등이 참여하는 경북교육연대는 경북교육청 앞에서 진단평가반대 기자회견을 열었고, 전교조 대구지부 등 대구지역 학부모단체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대구시 전역에서 ‘일제고사 반대’ 동시 다발 일인시위를 진행했다.
경북교육연대는 “지난해 12월 경북교육청은 도교육청 주관 학력평가를 전면 폐지하여 평가로 인한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줄이고,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 본질에 충실한 교육으로 전환하겠다던 것과 전면 배치되는 이중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북교육청은 지난해 12월 보도자료를 통해 “2013년도 초, 중학교 대부분의 학력실태조사, 중 1, 2학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등 학력평가를 전면 폐지하고 일부 개정”한다면서 이를 두고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자찬했다.
경북교육연대는 “그동안 이루어진 일제고사로 학교현장은 그야말로 황폐화 되었다”며 “성적 조작 파문, 문제풀이 식 획일화 수업, 학사 일정의 파행적 운영, 사교육비 급증 등 온갖 문제를 만들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교에서 3월 초는 아주 중요한 시간”이라며 “새 학년을 맞는 교사와 학생들이 한해의 학급 문화를 만들어가는 시간을 가져야 할 때 일제고사 방식의 진단평가는 교사가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능력을 발견하기 어렵게 한다”고 꼬집었다.
전교조 대구지부도 “학기 초 진단평가는 새 학기를 맞아 학생의 학업능력을 판단해서 그에 맞는 학습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라며 “진단평가는 일제고사 방식의 똑같은 문항과 똑같은 시간에 실시할 수 없는 평가”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일제고사 방식의 진단평가 중단 ▲전국단위 일제고사 실시계획 폐기 ▲경쟁교육정책을 협력과 희망의 교육정책으로 전환할 것 등을 요구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도 후보시절 초등학교 일제고사 폐지, 중등 일제고사 축소 등을 공약한 바 있고, 이날 서울, 강원, 경기, 전북, 광주 등 5개 시도교육청은 학교 자율에 따라 진단평가를 치르도록 했다.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