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을까?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면 그때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대구에서는 오랫동안 구석기 유물을 볼 수가 없었다. <대구시사(市史)> 88쪽의 표현처럼 ‘대구가 구석기 시대 이래로 인적이 없었던 지역인지, 아니면 내륙에 일어나는 침식과 퇴적에 의한 매몰로 발견할 수 없는 것인지’ 구석기 시대 유물은 전혀 눈에 띄지 않았다. 1982년, 대구시가 <대구의 향기- 전통과 문물> 33쪽을 통해 ‘대구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대략 지금부터 3000년 전쯤부터라고 추측할 수 있다’고 밝힌 것도 그 때문이다.
 |
▲ 월성동 구석기 유물을 보관하고 있는 대구박물관 | | |
2000년 12월 20일, 구석기 시대부터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암음(岩陰) 유적이 대구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수성구 파동 앞산 기슭에서 발견, 공개되었다. 암음, 즉 바위그늘은 맹수나 비바람의 위협을 벗어나기 위해 대형 바위 아래를 주거지로 이용한 고대인의 생활공간을 뜻한다.
대구박물관은 높이 6m, 너비 10m, 폭 5m에 이르는 이 암음 유적에서 구석기 시대를 비롯하여 신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걸친 다양한 토양층을 확인하고 각종 유물을 발굴하였다. 특히 1만년∼100만년 이전에 조성된 최하층에서는 인공이 가해진 것으로 추측되는 강(江)자갈들이 다량 나타났다. 이 인공이 가해진 강자갈들은 대구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는 구석기 유적일 가능성이 높아 전문가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대구박물관 측은 당시 “최하층에서 출토된 석기들이 구석기 것으로 최종 판단된다면 대구 분지의 문화사적 상한을 구석기 시대까지 대폭 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파동암음이 발견되기 이전까지는 대구에서 북구 서변동, 수성구 파동 등에서 신석기 유물인 즐문토기편이 출토된 사례만 있었다.
그 이듬해인 2001년, 대구·경북역사연구회는 ‘대구에는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을까? 이에 대한 답도 바로 이 땅 속에 남겨진 유적과 유물의 발견으로 찾을 수 있게 되었다’면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밝혔다(<역사 속의 대구, 대구 사람들> 28∼29쪽). 파동 바위그늘이 구석기 유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기술이었다.
 |
▲ 경북대 야외박물관에 보관 중인 상인동 고인돌 | | |
그러던 중인 2006년 7월 26일,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은 대구시 달서구 월성동의 아파트 신축부지 문화재 발굴현장에서 후기 구석기시대 좀돌날문화기에 해당하는 2만~1만년 전의 유물로 추정되는 좀돌날(細石刃세석인, mocro-blade, 잔석기를 만들기 위해 떼어낸 아주 작은 돌조각), 좀돌날몸돌(좀돌날의 몸통돌), 격지석기(돌조각 석기) 등이 출토되었다고 발표했다.
1982년 대구시 발행 <대구의 향기>, 2000년 대구박물관의 파동암음 발굴, 2001년 대구경북역사연구회 발간 <역사 속의 대구, 대구사람들>, 2006년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의 월성동 유적 발굴 등의 기술과 발표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학계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대구 지역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한 연대는 계속 앞당겨지고 있다. 그 결과, 대구박물관은 ‘2006년 월성동에서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어’ 대구에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한 때가 ‘2만년 이전으로 추정된다’고 게시하고 있다.
월성동 구석기 유물, 대구박물관에 전시 중
 |
▲ 원시인들의 주거생활을 암시하는 파동 바위그늘 | | |
‘대구 지역(달서구 월성동)에서 사상 처음으로 구석기 유물이 출토돼 (중략) 한국의 선사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연합뉴스, 2006년 7월 26일)’으로 기대를 모았던 월성동의 구석기 유물은 대구박물관에 가면 볼 수 있다.
물론 파동암음은 본디 있던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 구석기인들이 맹수와 비바람을 피해 웅크리고 살아갈 공간을 제공해 주었던 거대 바위는 변함없이 세월을 버티고 있다. 바위 자체가 유적이니, 인간들이 길을 내는 등의 목적으로 통째로 부수지 않는 한 제 자리에 고이 남아 있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파동암음을 찾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맹수가 찾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바위인 만큼 그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교통사정이 원시시대와 차원이 다른 현대사회에서도 그것은 좀처럼 찾을 수가 없다.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용두골 등산로와 장암사 입구 중간 지점에 숨은 듯 앉아 있기 때문.
이윽고 파동암음에 도착하여 장엄한 바위그늘을 바라보노라니, 아득한 세월을 넘어온 이 선사유적이 자못 답사객의 마음을 뒤흔든다. 경사가 심한 거대바위 아래 작은 동굴 안팎에서 비바람과 맹수를 피하며 살았을 구석기인들의 모습을 눈에 선하게 떠올리면서, 세월의 이끼에 겨워 거뭇거뭇 얼룩까지 생겨난 거대 바위 아래로 들어가 본다. 움푹 안으로 파여 옛사람들을 위험으로부터 지켜준 고마운 곳이다.
신천 너머 파동 주택들이 지척이다. 옛사람들은 여기서 수렵도 하고 신천 건너 들에서 곡류도 챙겨 먹었을 것이다. 아직 청동기로 만든 살육용 무기가 없던 시대였으니, 신천 가득 흐르는 청정수를 따라 평화도 함께 넘쳐났을 터이다. 아! 그들은, 무례한 후대인들이 시속 100km도 넘게 쌩쌩 차를 달려 ‘집’ 앞을 이토록 소란스럽게 할 줄은 차마 상상도 못했으리라.
이 뉴스클리핑은 http://newsdg.jinbo.net에서 발췌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