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는 끝났다. 김정우 쌍용자동차 지부장은 “이제 상복을 벗겠다. 추모에서 멈추지 않고 투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공장으로 돌아가겠다”고 선언했다. 쌍용자동차 조합원들도 이제는 애도와 슬픔에서 멈추지 않고 싸워 나갈 것이라며 “죽음에게 죽음을 내리겠다”고 선언했다.
19일 오후 서울역광장에서 ‘쌍용자동차 희생자추모 및 해고자복직 범국민 대책위원회’ 개최로 열린 ‘쌍용자동차 해고자 복직 범국민대회’에는 4천여명의 시민이 모여 ‘쌍용차 해고자 복직’, ‘정리해고 철폐’의 구호를 외쳤다. 범국민대회 무대 앞에는 희생된 22명의 쌍용자동차 노동자와 그 가족을 상징하는 22개의 관이 놓였다. 그 관에는 각각 정리해고 철폐와, 해고자 복직의 염원이 새겨져 있었다.
대회에 참가한 각계의 인사들도 쌍용차 문제 해결과 더 이상의 죽음을 막자는 호소를 이어갔다.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쌍용차 노동자의 죽음은 분명한 사회적 타살”이라고 강조하면서 “죄인된 심정으로 부탁한다. 힘들 땐 금속노조에, 민주노총에 전화를 걸라. 제발 죽지 말고 살아서 싸워 이기자”고 말했다.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도 “언론노조가 파업과 해고, 가압류 등을 통해 깨달은 것은 우리가 돌아갈 곳은 막연한 국민이 아니라 노동자이며, 우리가 되찾아야 할 것도 막연한 진실이 아니라 노동자의 진실이라는 것”이라면서 “파업을 통해 이런 깨달음을 얻은 언론노조 조합원들이 오늘도 이 자리에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재동 화백과 최헌국 목사 등 사회 각계 인사들이 낭독한 결의문은 “쌍용자동차 희생자에 대한 추모의 물결은 학술, 법조인권, 문화예술, 종교, 여성, 청년학생, 노농빈 등 각계가 연대하는 범국민적 투쟁의 물결로 바뀔 것”을 천명했다.
결의문은 또 △쌍용차 해고자복직 즉각 실시 △살인진압 책임자 즉각 처벌 △회계조작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희생자 명예회복과 배상대책 수립 △정리해고 비정규직 철폐의 5대 사회적 요구를 즉각 수용하라고 요구했다.
범대위는 쌍용차 파업돌입 3주년인 5월 22일 청와대 방문을 계획하고 있다. 또 쌍용차 문제해결을 위한 100만 서명운동을 준비하고 있다. 범대위는 또 6월 16일을 ‘쌍용자동차 해고자 복직을 위한 범국민 행동의 날’로 선포하고, 7월엔 전국 각 지역의 결의대회와 범국민대회에, 8월에는 민주노총 총파업에 힘을 모은다는 계획이다.
서울역 집회가 끝난 후 참가자들은 대한문 앞 쌍용자동차 분향소까지 행진을 시작했다. 애초 이 날 행진은 불허됐었지만, 법원이 주최 측의 행정중지 가처분을 받아들여 가능해졌다. 행진은 대한문 앞 분향소까지 이어졌고 추모집회가 열었다. 경찰은 관을 들고 걷는 행진과 집회를 불법이라 규정하고 지속적으로 폴리스 라인을 설치하고 해산명령을 방송했다. 그러나 별다른 마찰없이 집회와 행진을 마친 참가자들은 오후 7시경 해산했다. (기사제휴=참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