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시급" - 뉴스민
뉴스민 로고
무제 문서
뉴스 오피니언 기획/특집 지역광장 사진/영상 주말판 노는날  
 
뉴스홈 > 뉴스 > 사회
뉴스관리툴 2015년05월18일 17시45분    
글자크기 글자크기 크게 글자크기 작게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 시급"
"더 늦기전에 국가의 민간인 집단 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해야"

박중엽 기자 nahollow@newsmin.co.kr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피해자 유족들이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18일 오후 2시, 대구시 중구 2·28기념중앙공원에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대구경북유족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전쟁 전후 국가의 집단 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과 특별법 제정”을 요구했다.

지난 2012년, 이낙연 당시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피해자에 대한 진상규명 특별법’이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상황에서, 과거사 조사와 진실 규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유족회는 이날 “유족들은 연좌제로 가슴에 납덩이를 얹고 살다가 아버지를 찾아 이승을 떠나고 있다. 은폐한다고 감추어지지 않을 우리 민족의 큰 아픔인 민중항쟁을 재조명하여 특별법을 만들어 달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유족들을 연좌제로 몰아간 정권들을 성토하려고 특별법 서명을 하자는 것이 아니”라며, “더 늦기 전에 특별법을 만들고 과거사 조사를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채영희 10월항쟁유족회 회장은 “우리 부모님들이 아직 이 골짜기 저 골짜기에 시든 국화처럼 뼈가 널브러져 있다. 제발 더 늦기 전에 특별법을 만들어 미움도 억울함도 내려놓고 상생의 길을 같이 가야 한다”며 “생활 지원 등은 바라지도 않지만, 특별법을 통과시키고 아버지의 유골발굴사업을 해서 위령비를 세우고 술 한잔 올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여전히 대부분의 자손이 아직도 부모님이 무슨 죄인인 양 알고 숨어서 입에 올리지 않는 천하 불효를 저지르고 있다”며 “우리는 부모에 대한 것도 제대로 모르고 이승을 떠날 때가 다가온다. 더는 기다릴 수가 없어 국회에 3년 동안 잠자고 있는 특별법 통과를 위한 힘을 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정제(68) 씨는 “삼촌이 학살 피해자다. 지난날 억울하게 살았다. 후손들은 15년 전까지만 해도 국가 공무원도 못 하고 출국도 어려웠다”며 “이제라도 특별법을 제정해서 억울하게 피해받은 것도 바로잡아야 하고, 명예회복도 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대구경북유족회는 10월 항쟁, 보도연맹사건, 가창골·경산코발트광산 학살 희생자 유족 등으로 구성됐다.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대구경북유족회는 앞서 14일 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운동을 시작했는데, 현재 대구에서 1천여 명이 서명했다. 유족회는 현재 유족회가 파악하는 전후 민간인 학살 피해자 수 만큼인 100만 명의 서명을 전국에서 받을 계획이다.

한편, ‘한국전쟁전후민간인희생자전국유족회’는 한국 전쟁 전후 군경, 미군, 인민군 등으로부터 학살당한 민간인이 100만 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들은 민간인 학살을 해방 이후 국가 수립 과정에서 벌어진 정치 폭력이며, 국가가 사실상 학살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국가 공권력에 의한 학살’이라고 규정한다.
 

박중엽 기자 nahollow@newsmin.co.kr

ⓒ 뉴스민 (http://www.newsmi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보도자료 newsmin@newsmin.co.kr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학살터 대구 가창골희생자 위령제 열려
대구 가창골 민간인 학살지서 희생자 위령제 열려
대구 포산고 교학사 교과서 선정, ‘10월항쟁’ 폭동으로 서술
제주4.3항쟁과 대구10월항쟁, 지역적 저항의 재구성
'대구 폭동' 아닌 '10월 항쟁'을 기억하자
미생의 역사, 1946년 10월항쟁
10월항쟁 학술토론회, “10월항쟁은 미제국주의에 대한 인민의 저항”
”청산되지 못한 역사는 반복된다. 10월항쟁 특별법 제정해야”
뉴스스크랩하기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사회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88657949  입력
다음기사 : 시민 2천여 명,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허가 무효 소송 제기 (2015-05-18 18:10:00)
이전기사 : 2015년 대구 청년포럼 '작당모의' 열린다 (2015-05-15 20:05:00)
많이 본 기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
열악한 대구 시민 복지…”복지기준선 필요...
낙동강, 맹꽁이 사라지고 큰빗이끼벌레만
청도 송전탑 공사 강행 1년, 피해 주민 “...
중구청, 대구 지자체 중 비정규직 비율 1위
국가는 유령이다: ‘유일자(唯一者)’ 막스...
“학교 급식인원 감소 예상된다”며 조리원...
민주노총 대구본부, ’10월 항쟁’ 답사 진...
삼평리 주민과 연대자, 송전탑 넘는 넝쿨이...
노조탄압 논란 ㈜오토..."시급 5,270원 알...
그리스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보여주는 열정...
뉴스민 하단메뉴
하단구분바

사단법인 뉴스민 | 등록번호 : 대구 아00095(2012.8.24) | 발행인 : 노태맹 | 편집인 : 천용길
창간일 : 2012.5.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8 노동복지회관 2층뉴스민
TEL : 070-8830-8187 | FAX : 053)211-4719 | newsmin@newsmin.co.kr

뉴스민RSS정보공유라이선스정보공유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