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구조개선’을 두고 노동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고용노동청이 미래세대를 위한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일 오후 12시 대구고용노동청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노동시장 구조개선은 미래세대를 위해, 일자리를 늘리고 근로자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며 “지역에서도 노사정 합의를 위한 공감대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기동 대구고용노동청장은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가 심각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부족하다. 임금, 근로시간, 정년 등 시스템이 산업화시대에서 크게 안 바뀌고 있다. 과거 제조업 위주 산업에서 서비스 위주 산업으로 바뀌었고, 구조적으로도 새로운 변화를 맞아야 한다”며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구조적으로 안 맞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좋은 일자리 창출이 안 된다. 이 시스템이 바뀌어야 일자리가 개선되고, 청년 실업이 해결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노동계 반발에 대해 손영산 대구고용노동청 근로개선지도1과장은 “(노사정) 서로 입장 차가 심하고, 합의가 어렵지 않을까 하는 말도 나온다. 4월에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연대 투쟁을 한다고 일정을 잡았다. (노사정) 합의를 위한 전술일 수도 있고, 입장 피력을 위한 전략일 수도 있다”며 “(노동시장 구조개선) 지금이 아니면 시기적으로 어렵다. 정부 집권 3년 차에 들어섰고, 선거도 없다. 더 미루다가는 손도 쓸 수 없는 상황에 이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대구고용노동청은 ‘노동시장 구조개선 추진단’을 꾸리고, 지역 실정에 맞는 노동시장 구조개선 전략을 찾고 있다. 추진단은 최기동 청장이 단장을 맡았으며, 노사민정협의회 위원, 관련 전문가 등 1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노사민정협의회는 오는 24일과 26일 각각 대구, 영천에서 토론회를 열어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대한 노사정 입장을 나눈다.
한편,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노동시장 구조개선 방안'에는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 비정규직 기간 연장,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등이 포함됐다.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구조개선특별위원회’는 3월말까지 노사정 합의를 이룬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