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가 12일 설계수명이 끝나 3년째 가동 중단 상태인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계속운전) 결정을 다시 한 번 연기했다. 이미 지난달에도 1차례 연기한 바 있다.
원안위는 밤 11시까지 약 12시간 동안 논의를 진행했지만, 추가적인 심의를 위해 26일 심의를 계속한다고 밝혔다. 심의과정에서 일부 원안위원들이 표결처리를 주장하기도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녹색당, 정의당이 반발하고 나섰다.
원안위는 회의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전문가검증단에서 도출한 안전개선사항에 대해 민감검증단 7명이 참석한 가운데 논의를 진행했다.
원안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김익중(동국대) 교수는 <뉴스민>과 통화에서 “안전성 검토가 아직도 충분히 안 됐다. 11시간 회의를 했지만, 9가지 안전성 문제 가운데 3가지 질문밖에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익중 교수는 “월성1호기에 반영되어야 할 최신기술도 빠져 있는 상태”라며 “원안위의 구성상 계속운전 허가 쪽 위원들이 많다. 그러나 위험천만한 월성1호기에 대한 안전성 논의라도 충분히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9명의 원안위원 구성을 보면 야당이 추천한 김익중, 김혜정 위원을 제외하면 계속운전 허가 쪽으로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12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논의가 길어지자 일부 원안위원들이 “표결을 해서라도 오늘 결정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녹색당은 13일 논평을 내고 “월성 1호기 수명연장 여부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채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한 임창생 위원(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공학과 초빙교수), 최재붕 위원(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조성경 위원(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자연교양 교수)의 사퇴”를 촉구했다.
녹색당은 “국회예산처 보고서에 따르면 월성1호기와 고리1호기를 폐쇄해도 전력수급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민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그렇게 서두를 일이 아니”라면서 “그리고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계속운전을 위한 주기적 안전성평가에는 최신기술 등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명연장 심사자료를 공개하지 않는 점도 문제다.
이에 정의당 탈핵에너지전환위원회도 13일 논평을 통해 “제34차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들은 조석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에게 월성1호기의 국민 수용성을 높이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정작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회의 속기록조차 공개하지 않고, 회의 역시 비공개로 진행하고 있다”며 “원자력안전위원회부터 속기록의 전면공개와 방송을 통한 회의공개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