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 검토용역 마무리를 앞두고 대구시 취수원 이전 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홍의락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대구 시민의 식수 공포”를 강조하며 “구미시의 협조와 국토교통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실시”를 촉구했고, 환경단체는 “대구 취수원 이전보다 오염물질 유출 억제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대구시 취수원은 강정고령보 상류 죽곡, 매곡, 문산 취수장 등에 걸쳐 있다. 이를 거슬러 올라가면 구미국가공단이 나온다. 구미국가공단은 1991년 낙동강 페놀 유출, 2012년 불산이 누출돼 낙동강 유입 논란이 일었다. 이외에도 낙동강에는 94년 페놀, 톨루엔 06년 퍼클로레이트, 08년 다이옥산이 검출돼 대구시민의 불안감이 더해졌다.
대구시는 2010년 구미시로의 취수원 이전 방안을 추진했으나 2011년 KDI(한국개발연구원)의 비용편익분석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다고 판명돼 좌초된 바 있다. 하지만 대구시는 다시 취수원 이전을 시도했고, 현재 대구시 취수원 이전을 골자로 한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 검토용역이 진행 중이다.
홍의락 의원은 2일 오전 10시 30분 대구광역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홍의락 의원은 과거 페놀사건 등 대구 시민의 식수 공포를 언급하며 “시장끼리 만나서 서로 공개적으로 토론도 하고 입장을 공개해야 추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아직 서로 공식적으로 얘기조차 한 적이 없다. 지역 정치권에서도 절박하게 바라봐야 하는데 남 일처럼 바라본다. 국토부는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고 구미와 대구가 서로 문제를 풀어야한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 지연이 안타깝다는 의견을 표했다. 최정한 대구시 물관리과장은 “안타까운 일이다.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하면서 타당성을 따져도 된다. 기본계획 조사는 스케치 정도 수준이고 전문가와 논의할 수 있는데도 첫 장에서부터 막혀서 진도가 못나간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구환경운동연합과 대구취수원구미이전구미시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취수원이전반대구미추진위)는 대구시의 취수원 이전을 비판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취수원이기 때문에 수질이 관리되고 있는데 대구가 취수원을 상류로 옮기면 하류 수질은 나빠질 우려가 있다. 취수원 이전 문제는 구미공단 때문에 시작됐는데, 그렇다면 이전할 게 아니고 공단과 협의 노력을 하고 환경부에도 단속을 요청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구의 취수원보다 하류에 위치한 취수장은 논공취수장(대구), 칠서취수장(함안), 본포취수장(창원) 창암취수장(김해), 매리취수장(김해), 물금취수장(양산) 등이 있다.
조근래 취수원이전반대구미추진위 집행위원장은 “공단에서 수질관리를 엄격히 하는 등의 방법으로 오염물질 차단이 우선돼야 한다”며 “취수지점 이동으로 인한 비용 상승과 취수원 이전으로 인한 수질 악화도 문제”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