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가 사회공공성강화, 생활임금쟁취를 요구하며 12일부터 15일 간 동대구역 앞 거리농성에 돌입했다. 지난 10일 쌍용차 대한문 분향소와 재능교육 해고자 농성장을 강제 철거한 정부 당국은 이날도 100여명의 경찰을 배치해 농성장 설치를 막아섰지만 큰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12일 오후 4시, 동대구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영화 중단, 공공부문 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 생활임금 보장, 비정규직 철폐를 시민들에게 호소하며, 거리농성 출정식을 진행했다.
민주노총 대구본부는 "정부, 경총, 한국노총이 나쁜 일자리를 확산하는 노사정일자리협약을 발표해 노동자에게 고통을 전가하고 있다. 또, 철도와 도시가스 등 공공부문 민영화와 진주의료원 폐업, 대구도시철도 3호선 무인운영에서 보여지듯 노동자시민의 안전은 뒷전"이라며 박근혜 정부를 비판했다.
또,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이 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라는 정부방침이 무색하게 칠곡경북대병원의 비정규직 해고는 160일이나 지났다"며 "재벌천국의 나라가 아닌 노동자와 서민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을 만나 함께 바꿔가겠다"고 거리농성 돌입 취지를 설명했다.
이계옥 의료연대대구지부 경북대병원 민들레분회장은 "새누리당과 고위 관직자들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전혀 관심이 없다. 비정규직이 철폐되지 않고 최저임금이라는 딱지가 살아있는 한 우리 삶은 행복할 수 없다"며 "정부는 헛공약만 남발할 것이 아니라 비정규직 딱지를 떼어내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명애 장애인지역공동체 대표는 "일을 하고 싶어도 못하는 장애인과 일하면서도 어려운 노동자의 삶은 다르지 않다. 장애인은 부양의무제와 장애인등급제로 권리 보장을 못 받고, 노동자들은 최저임금과 비정규직의 굴레에 고통받고 있다"며 민주노총과 함께 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는 오는 26일까지 14박 15일 동안 농성을 이어갈 예정이다. 매일 저녁 7시 동대구역 앞 광장에서는 건설, 공공, 전교조, 공무원, 대학생, 청년유니온 등이 문화제를 주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