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서 故 여정남 추모문화제 열려, 여정남기념사업회 출범 - 뉴스민
뉴스민 로고
무제 문서
뉴스 오피니언 기획/특집 지역광장 사진/영상 주말판 노는날  
 
뉴스홈 > 뉴스 > 사회
뉴스관리툴 2013년04월14일 19시14분    
글자크기 글자크기 크게 글자크기 작게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경북대서 故 여정남 추모문화제 열려, 여정남기념사업회 출범
인혁당사건 38주년..."여정남의 뜻이 되살아날 수 있도록 하자"

김규현 객원기자 gyuhyeon17@naver.com

13일 오후 3시, 경북대학교 여정남공원에서 인혁당사건 38주년을 맞아 故 여정남 열사를 추모하는 문화제 ‘4월에 피는 꽃’이 열렸다.

지난해에 이어 2010년 여정남공원 건립 이후 올해가 두 번째인 문화제는 여정남기념사업회 주최로 열렸다. 여정남기념사업회와 경북대 학생들이 주축이 돼 열린 문화제에는 법대 노래패 반하리, 함께하는대구청년회 경북대 졸업생 회원들, 노래모임 바람 꽃, 그랜드챕스, 여음, 정외과 학생들의 공연으로 진행됐다.

이현세 여정남기념사업회 회장은 “매년 4월 꽃이 만발한 복현 언덕을 찾으면서 언제쯤이면 제대로 된 민주주의가 꽃 피고 통일이 올까...노동인권이 보장되고 젊은이들이 취직걱정을 하지 않고 살 수 있을까 생각한다”며 “우리 선후배 동지들이 여기 이곳에 모여 서로 격려하고 위로하며 이 어려운 시국을 이겨내자”고 말했다.

전현수 경북대민주화를위한교수협의회 의장은 “여정남 열사는 경북대의 영원한 학생이자 후배이고 선배이다. 끝내 독재에 희생됐지만 후회하지 않았다”며 “경북대 학생운동의 영원한 선구자이고, 영원한 학생회장인 여정남이 있어 우리는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노진철 사회과학대학 학장은 “여정남 열사는 박정희 정권의 대표적인 인권탄압의 희생양이었다. 그 분의 뜻이 되살아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여정남 공원을 보며 다짐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여정남 열사는 경북대 정치외교학과에 입학회 경북대 총학생회장을 맡았고, 1964년 한일회담 반대 투쟁을 이끌다 3번 제적됐고, 1972년 유신반대 포고령 위반으로 구속됐다. 1974년 4월 인민혁명당 재건위 사건으로 구속돼 1975년 4월 9일, 32세의 나이로 사형 당했다. 당시 사형된 8명 가운데 가장 어렸다.

한편, 여정남기념사업회는 이날 오후 1시 경북대 사회대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앞으로 여정남 열사의 뜻을 기리는 사업을 진행할 것을 결정했다.

김규현 객원기자 gyuhyeon17@naver.com

ⓒ 뉴스민 (http://www.newsmi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보도자료 newsmin@newsmin.co.kr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뉴스스크랩하기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사회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51717179  입력
다음기사 : 대구시민사회, “진주의료원 폐업 반대, 꼴통 도지사가 문제” (2013-04-15 15:15:14)
이전기사 : "시혜와 동정이 아닌 장애인의 당연한 권리를" (2013-04-13 23:03:58)
많이 본 기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
열악한 대구 시민 복지…”복지기준선 필요...
낙동강, 맹꽁이 사라지고 큰빗이끼벌레만
청도 송전탑 공사 강행 1년, 피해 주민 “...
중구청, 대구 지자체 중 비정규직 비율 1위
국가는 유령이다: ‘유일자(唯一者)’ 막스...
“학교 급식인원 감소 예상된다”며 조리원...
민주노총 대구본부, ’10월 항쟁’ 답사 진...
삼평리 주민과 연대자, 송전탑 넘는 넝쿨이...
노조탄압 논란 ㈜오토..."시급 5,270원 알...
그리스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보여주는 열정...
뉴스민 하단메뉴
하단구분바

사단법인 뉴스민 | 등록번호 : 대구 아00095(2012.8.24) | 발행인 : 노태맹 | 편집인 : 천용길
창간일 : 2012.5.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8 노동복지회관 2층뉴스민
TEL : 070-8830-8187 | FAX : 053)211-4719 | newsmin@newsmin.co.kr

뉴스민RSS정보공유라이선스정보공유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