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진보진영 토론회 열고 공동투쟁체 건설 모색해 - 뉴스민
뉴스민 로고
무제 문서
뉴스 오피니언 기획/특집 지역광장 사진/영상 주말판 노는날  
 
뉴스홈 > 뉴스 > 정치
뉴스관리툴 2013년04월11일 08시40분    
글자크기 글자크기 크게 글자크기 작게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대구 진보진영 토론회 열고 공동투쟁체 건설 모색해
공동투쟁 필요성은 공감, 참가 대상 단체에서 의견차 여전해

천용길 기자 droadb@newsmin.co.kr

지난해 국민참여당을 포함한 통합진보당 창당, 이어진 분당으로 힘을 모으지 못했던 대구의 진보진영이 상설 공동투쟁체 건설을 위한 모색에 나섰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거세진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과 긴장관계에 놓인 한반도 정세에 산개한 힘을 모아내기 위함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대구진보민중공동투쟁본부, 대구경북진보연대가 주최한 ‘민중운동의 단결과 연대를 위한 토론회’는 10일 오후 7시 국채보상운동기념관 2층에서 진보진영 활동가 및 정당인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들은 박근혜 정부와 신자유주의에 맞선 공동투쟁에는 뜻을 모았으나, 공동투쟁체의 위상과 참가 대상 단체에서는 의견차를 드러냈다.

지난해 대구진보민중공투본 참여단체들이 ‘신자유주의 세력인 국민참여당과 합당한 통합진보당과 함께 할 수 없다’며 통합진보당의 참여를 거부했고, 대구경북진보연대는 이러한 배제가 상설공투체 위상에 맞지 않다며 대구진보민중공투본에서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토론회는 김찬수 대구평화와통일여는사람들 공동대표가 사회를 맡았고, 임성열 민주노총대구지역 본부장, 서창호 대구진보민중공동투쟁본부 공동집행위원장, 김선우 대구경북진보연대 집행위원장이 발제에 나섰다.

임성열 본부장은 “세계적 경제위기가 한국경제에 위기를 불러오고 있는 가운데, 자본은 노동자의 요구를 거세게 탄압하고 있다. 이 가운데 공공영역의 사유화가 추진되고 구조조정과 임금삭감이 야기되고 있다”며 “2013년에는 각각이 투쟁할 것이 아니라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투쟁을 만들어 나가는 발전적인 조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 본부장은 “노동자투쟁을 비롯한 계급투쟁과 사회적 약자의 권리확장을 위한 일상 투쟁을 벌여나가겠다”면서 “신자유주의 정책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최소한의 이념적 지향으로 삼는 연대전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 본부장은 “진보민중공투본으로 대구지역 민중운동을 포괄하지 못한다면 새로운 공동투쟁체 논의도 필요하다”면서 상설공동투쟁체의 필요성을 밝혔다.

서창호 대구진보민중공투본 집행위원장은 임 본부장의 정세 인식에 동의하면서 “대중운동과 진보정당의 위기, 신자유주의 정책 가운데 민중에 대한 탄압이 집중되고 있어 단결과 연대를 적극 모색해야 한다”며 “한시적 연대가 아닌 실질적이고 투쟁력 있는 연대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창호 집행위원장은 “노동자민중 생존권, 사회공공성, 한반도 평화, 민주주의 쟁취 등의 사업방향에 동의하는 단체 및 진보정당으로 공동투쟁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김선우 대구경북진보연대 집행위원장은 “통합진보당 합당으로 공투본내에서 문제가 제기된 것은 공투본의 위상에 맞지 않다고 판단해 공투본 활동을 중지하게 됐다. 이후 사안별 연대를 해왔다”며 “사안별 의제 중심으로 투쟁이 전개되다 보니 대구지역 연대운동이 약화됐다”고 지난 시기를 평가했다.

김선우 집행위원장은 “사안별 연대 투쟁의 한계로 결국 큰 덩어리의 폭넓은 연대가 필요하다”며 “민주주의․민중생존권 쟁취, 국민기본권 보장, 한반도 평화수호를 목적으로 여기에 동의하는 모든 정당, 단체, 세력이 모두 모여 공동 투쟁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문턱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

발제에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상설공동투쟁체의 필요성과 공동투쟁체 참가 단체 기준 문제가 제기됐다. 참가자들이 대체로 공감한 공동투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설전이 벌이지는 않았으나, ‘국민참여당 세력’을 포괄하느냐의 문제를 놓고 여전히 의견차를 보여 향후 상설공동투쟁체 건설 논의도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천용길 기자 droadb@newsmin.co.kr

ⓒ 뉴스민 (http://www.newsmi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보도자료 newsmin@newsmin.co.kr

 
진보정당 15년 오래된 습관, 복잡한 반성
적색과 녹색의 대화, “적색의 과학을 뒷받침하는 것이 녹색의 상상력”
뉴스스크랩하기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정치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85805947  입력
다음기사 : 대구경북 기초지자체 공약이행률 저조 (2013-04-23 14:58:22)
이전기사 : 해킹명단 일베 간첩 낙인, 황순규 의원 간첩 몰아 고소당해 (2013-04-05 19:42:55)
많이 본 기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
열악한 대구 시민 복지…”복지기준선 필요...
낙동강, 맹꽁이 사라지고 큰빗이끼벌레만
청도 송전탑 공사 강행 1년, 피해 주민 “...
중구청, 대구 지자체 중 비정규직 비율 1위
국가는 유령이다: ‘유일자(唯一者)’ 막스...
“학교 급식인원 감소 예상된다”며 조리원...
민주노총 대구본부, ’10월 항쟁’ 답사 진...
삼평리 주민과 연대자, 송전탑 넘는 넝쿨이...
노조탄압 논란 ㈜오토..."시급 5,270원 알...
그리스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보여주는 열정...
뉴스민 하단메뉴
하단구분바

사단법인 뉴스민 | 등록번호 : 대구 아00095(2012.8.24) | 발행인 : 노태맹 | 편집인 : 천용길
창간일 : 2012.5.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8 노동복지회관 2층뉴스민
TEL : 070-8830-8187 | FAX : 053)211-4719 | newsmin@newsmin.co.kr

뉴스민RSS정보공유라이선스정보공유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