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합천보 또 ‘파이핑 현상’...붕괴위험 논란 - 뉴스민
뉴스민 로고
무제 문서
뉴스 오피니언 기획/특집 지역광장 사진/영상 주말판 노는날  
 
뉴스홈 > 뉴스 > 사회 > 환경
뉴스관리툴 2013년01월14일 17시41분    
글자크기 글자크기 크게 글자크기 작게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4대강 합천보 또 ‘파이핑 현상’...붕괴위험 논란
4대강 범대위, 인수위에 “4대강 사업 전면재검토” 요구 전달

성지훈 기자 newscham@jinbo.net

합천보에서 또 다시 파이핑 현상이 발견돼 4대강 보의 안전성 논란이 도마에 올랐다. 4대강조사위원회와 대한하천학회, 환경운동연합 등은 14일 오전 환경운동연합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 합천보 우안에 조성한 공원 아래로 파이핑 현상이 추가로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기자회견에서 “지난 11월, 합천보 우안에서 물이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현상을 확인했다”며 “합천보에 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 일부가 떨어져 나갔거나 파이핑 현상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 파이핑 현상이 발생한 함안보 (2012.07 촬영) [출처: 4대강 조사위원회]

파이핑 현상은 보 아래에 있는 모래가 보 상하류 수압차에 의하여 쓸려나가 결국 물길이 만들어지는 현상이다. 박창근 교수는 “시간이 지나 상태가 심각해지면 조그마했던 물길이 커지게 되고, 보 아래에 있는 모래가 모두 쓸려나가게 되면 보 본체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 위험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견된 현상에 대해 국토부와 수자원공사는 “배사문(토사를 흘려보내는 문)에 따른 물의 흐름”이라며 파이핑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박창근 교수는 “배사문에서 나오는 물은 2m 너비로 일정하게 쭉 흘러가지 부글부글 솟구치지 않는다”며 국토부의 주장을 반박했다. 박 교수는 이어 “배사문과 파이핑 현상이 일어나는 곳까지는 35~40m 차이가 난다”고 덧붙였다. 합천보에서 발견된 현상은 파이핑 현상이라는 것이다.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는 4대강에 설치한 보는 모두 ‘문제점이 없는 최상의 상태’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조사위원회는 이를 “보의 현상태를 제대로 진단하지 못했거나 아니면 보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들이 발생한 것을 숨기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해다. 실제로 대부분의 보에서 보 공사를 완료한 후에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생겨서 보수 보강공사를 했다.

4대강 조사위원회는 “보에서 파이핑 현상 발생, 수문작동의 어려움, 바닥보호공과 물받이공 유실, 균열 발생, 대규모 세굴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사태가 발생했고 그러한 하자를 보수보강하는데 적어도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었다는 점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참조하면 낙동강 모든 보들이 불량상태인 E등급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4대강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논란이 발생하면서 4대강 조사위원회와 환경단체들은 새 정부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4대강 사업에 대한 재평가와 검토를 요구했다. 4대강 조사위원회와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는 14일 오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 사업 국민조사위원회를 구성해 4대강 사업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평가로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사진:참세상]

박창근 관동대 교수는 기자회견에서 “4대강사업의 밑그림인 ‘4대강사업 마스터플랜’이 밀실에서 만들어졌고 4대강별 유역종합치수계획과 하천기본계획 그리고 환경영향평가 등과 같은 각종 보고서들이 졸속으로 만들어졌다”면서 “‘4대강사업 국민검토위원회’를 구성하여 4대강사업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다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근혜 당선인은 후보시절 TV 토론회에서 “4대강 사업을 다시 평가하고 검토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국토부가 말했듯 ‘국토개조사업’인 4대강 사업은 준비기간에만 10년 이상을 들여 철저히 진행해야 함에도 완공까지 3년만에 모두 마쳐 곳곳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녹조라떼, 금강 물고기 떼죽음 등 생물이 살 수 없는 하천이 복구불능의 상태가 되기 전에 사업을 백지화하고 처음부터 사업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인수위에 대형보의 홍수피해 유발문제와 부실공사에 따른 보 안전성 문제, 수질악화와 생물멸종 문제 등 4대강 사업 전반에 대한 주요 논쟁점을 다시 평가하고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들은 이어 지난해 해체된 ‘4대강사업 추진본부’의 자료가 재검토를 위해 보존돼야 하며 하천과 수자원관리 업무가 국토부에서 환경부로 이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4대강 조사위원회와 환경단체들은 기자회견 직후 인수위에 4대강 사업 재평가 요청서를 전달했다. 인수위에서는 지난 11일 출범한 국민행복제안센터의 정익훈 센터장이 직접 요청서를 접수했다. 정익훈 센터장은 요청서를 접수하면서 “범대위의 의견을 인수위에서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휴=참세상)

성지훈 기자 newscham@jinbo.net

ⓒ 뉴스민 (http://www.newsmi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보도자료 newsmin@newsmin.co.kr

 
낙동강 지천 역행침식으로 붕괴 중...교량 위험
낙동강 보 붕괴위험...칠곡보 물받이공 대규모 균열
[논설]4대강 사업, 전술적 수용 자세로 사회적 압력 행사해야
4대강 낙단보 눈 내리는 겨울에 보수공사 진행
김범일 대구시장 “4대강 사업은 성공적 사업”
공주보 수달 발견...환경단체 “과대포장 4대강 진실왜곡”
낙동강 폐준설선 기름 유출...국토부 관리 부실, 예견된 사고
대구환경련, “4대강 보 담수로 농민 피해 심각”
뉴스스크랩하기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환경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68554137  입력
다음기사 : 4대강 낙단보 눈 내리는 겨울에 보수공사 진행 (2013-01-22 15:08:54)
이전기사 : 4대강 사업 이후 얼어붙은 낙동강, 큰고니 굶어 죽는다 (2013-01-07 11:21:28)
많이 본 기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
열악한 대구 시민 복지…”복지기준선 필요...
낙동강, 맹꽁이 사라지고 큰빗이끼벌레만
청도 송전탑 공사 강행 1년, 피해 주민 “...
중구청, 대구 지자체 중 비정규직 비율 1위
국가는 유령이다: ‘유일자(唯一者)’ 막스...
“학교 급식인원 감소 예상된다”며 조리원...
민주노총 대구본부, ’10월 항쟁’ 답사 진...
삼평리 주민과 연대자, 송전탑 넘는 넝쿨이...
노조탄압 논란 ㈜오토..."시급 5,270원 알...
그리스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보여주는 열정...
뉴스민 하단메뉴
하단구분바

사단법인 뉴스민 | 등록번호 : 대구 아00095(2012.8.24) | 발행인 : 노태맹 | 편집인 : 천용길
창간일 : 2012.5.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8 노동복지회관 2층뉴스민
TEL : 070-8830-8187 | FAX : 053)211-4719 | newsmin@newsmin.co.kr

뉴스민RSS정보공유라이선스정보공유라이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