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5) 하여도 - 뉴스민
뉴스민 로고
무제 문서
뉴스 오피니언 기획/특집 지역광장 사진/영상 주말판 노는날  
 
뉴스홈 > 오피니언 > 칼럼 >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뉴스관리툴 2013년01월15일 23시18분    
글자크기 글자크기 크게 글자크기 작게 기사내용 이메일보내기 뉴스프린트하기 뉴스스크랩하기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5) 하여도
고통스러운 것을 고통스럽다 라고 말하자

우창수(가수, 작곡가) dwcsoo@hanmail.net

“왜 그렇게 슬프고 쓸쓸해 보이는 거니 하나의 문이 닫히면
하나의 문이 열린다는 사실을 잊은 거야?”

자메이카 레게의 전설인 밥말리의 노래 「Coming in from Cold 」에 나오는 가사이다. 밥 말리. 저항과 평화를 꿈꾸는 전 세계 젊은 음악인 중에 밥 말리를 좋아하지 않은 뮤지션들이 있을까? 자메이카 민중들에게는 저항과 평화의 가수이자 희망이었고 권력자들에겐 불편하고 위험한 아티스트였다. 레게를 전 세계에 전파시킨 전설이 된 뮤지션. 어떻게 된 이유인지 가수 김건모는 그런 자메이카 밥 말리의 정신과 저항은 거세시키고 리듬만을 가져와서 “핑계”라는 노래로 히트를 했다. 그 당시 사람들은 레게는 알아도 밥 말리는 몰랐다.

2012년 연말 대선이 끝나고 노동자들의 죽음을 접해야 했다. 나는 울산의 이운남 열사의 영결식에서 추모노래를 불러야 했다. 그리고 콘서트를 마친 다음 날 한진중공업으로 향했다. 노래하기가 이렇게 힘들까. 집으로 돌아와 밥 말리의 노래가 듣고 싶어졌다. 며칠째 밥 말리의 음악을 듣고 있다. 우연히 EBS 지식채널에서 만든 밥 말리의 영상을 본다. 밥 말리의 명언들이 나온다

“음악으로 혁명을 일으킬 수는 없다 그렇지만
사람들을 깨우치고 미래에 대해 듣게 할 수는 있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며 노래했다. 노동자들의 투쟁 공간에서 함께 울분을 토하며 노래했다. 그리고 투쟁의 힘이 되길 바랐고 위로여도 좋았다. 하나 둘, 쓰러져간 노동자들을 보며 사회적 타실임이 분명한데 한편으로는 제발 죽지 않기를 바랐다. 3일간의 콘서트를 이어갈 때 한 동지가 찾아왔다. 열사와 함께할 방법을 의논하러 왔다고 했다. 나는 노래로 함께할 수 있겠지마는 내가 그 열사정신계승의 투쟁마당에서 힘이 될 수 있을지 미안하기만 하다.

견디기 힘들었을 것이다. 이 세상과 연을 끊는 것이 어디 그리 장난같이 쉬운 일인가. 그 죽음 앞에 자본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라며 여전히 자신들의 태도를 버리지 않는다. 그 벼랑 끝에 서보지 않고는 당사자가 아니고는 그 고통을 미루어 짐작하지도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 벼랑 끝에서 풀 한 포기의 여리고 강한 생명력이 가르쳐 주는 깨달음이 있다면, 그래서 근간에 노동자 시인 조성웅 동지의 “식물성 투쟁의지”처럼 느리고 낮게 삶을 한 호흡을 쉬어볼 수 있다면, 사랑하는 이들과 작지만 평화로운 꿈을 꾸게 될 수 있다면, 나는 내 노래가 없어도 좋다. 고통스러운 것을 고통스럽다 라고 말하자. 그리고 함께 가자고 말하자. 열사들의 명복을 빌면서 투쟁의 의지를 다져야 하는 우리네 삶도 다 쓸어안고 모두 밥 말 리가 되자   

 “혁명이란 결코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빨리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니, 웃으면서 기다려라”



 하여도 다운받기  (마우스 우클릭 후 다른이름으로 대상 저장 누르셔야 합니다)

악보(하여도) 다운받기  (마우스 우클릭 후 다른이름으로 대상 저장 누르셔야 합니다)


노동문화예술단 일터 활동
1997년 솔로활동 시작
2007년 창작곡 1집 “빵과 서커스” 만듦
2010년 아이들 글에 붙인 창작 동요 “우리 개똥이 하는 말” 만듦
현재 우창수와 장난감밴드 활동 / 개똥이 어린이 예술단 대표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http://cafe.daum.net/woo2011  

우창수(가수, 작곡가) dwcsoo@hanmail.net

ⓒ 뉴스민 (http://www.newsmi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보도자료 newsmin@newsmin.co.kr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 아이들에게 생명을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 넌 우리와 다르지 않아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3) 빵과 서커스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4) 신경현 시인의 시노래 “정기 건강검진”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5) 총파업의 추억 “기계를 멈춰”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6) 자신이 음치라고 생각하는 분들께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9) 우리가 영성음악제를 여는 이유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0) 하청노동자와 원청노동자의 차이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1) 사는 곳이 일정하지 않은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2) 기타치는 은빛 배짱이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3) 아들에게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4) 어화넘자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7) 신선동 편지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8) 천국에서 온 김밥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9) 노래로 자라는 텃밭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0) 밥 한 그릇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2) 노동절에 어떤 노래를 부르지 ?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3) 시험 빵점 맞은 날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4) 임을 위한 행진곡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5) 사람이 그립지 않소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7) 껍데기는 가라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28) 울고 싶어요? 나도 그래요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29) 수업 좀 잘하고 싶다
뉴스스크랩하기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섹션 목록으로

이름 비밀번호
 37842992  입력
다음기사 :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6) 이씨 아저씨 (2013-01-29 18:33:50)
이전기사 : [우창수의 노래나무 심기] (14) 어화넘자 (2013-01-03 11:53:33)
많이 본 기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최근 기사
열악한 대구 시민 복지…”복지기준선 필요...
낙동강, 맹꽁이 사라지고 큰빗이끼벌레만
청도 송전탑 공사 강행 1년, 피해 주민 “...
중구청, 대구 지자체 중 비정규직 비율 1위
국가는 유령이다: ‘유일자(唯一者)’ 막스...
“학교 급식인원 감소 예상된다”며 조리원...
민주노총 대구본부, ’10월 항쟁’ 답사 진...
삼평리 주민과 연대자, 송전탑 넘는 넝쿨이...
노조탄압 논란 ㈜오토..."시급 5,270원 알...
그리스에 대해 프랑스인들이 보여주는 열정...
뉴스민 하단메뉴
하단구분바

사단법인 뉴스민 | 등록번호 : 대구 아00095(2012.8.24) | 발행인 : 노태맹 | 편집인 : 천용길
창간일 : 2012.5.1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72-18 노동복지회관 2층뉴스민
TEL : 070-8830-8187 | FAX : 053)211-4719 | newsmin@newsmin.co.kr

뉴스민RSS정보공유라이선스정보공유라이선스